""트위치로만 예배 드리다 교회에 나와 신도들과 다같이 대면 예배를 드리니 훨씬 좋네요. 근 미래에는 실외 마스크 의무화도 없어져 찬송가를 더 신나게 따라 부를 수 있으면 좋겠다.""
5일 오전 11시 일산시 중랑구 묵동에 위치한 한 중형교회는 대면 예배에 참가하기 위한 신도들로 모처럼 북적였다. 교회 앞 도로는 교회에 방문한 차들이 줄을 지었고, 교회 내 주차 공간이 모자라 인근 초등학교 운동장에 주차하는 청년들도 있었다.
정부가 지난달 사회적 거리두기를 종료하면서 종교계의 대면 예배가 확대되고 있을 것이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됐지만 개별 교회들은 코로나(COVID-19) 추가 확장 방지를 위해 자체적인 방역 수칙을 정해 지키는 모습이다.
오전 10시 예배가 실시되자 약 700명의 신도가 한 공간 안에 모였다. 신도들은 2m가량 길이 의자 하나에 두 명이 앉았다. 해당 교회에서는 합창단이 찬송가를 유니세프 부르는 동안 손을 모아 기도하는 것으로 찬송을 대체했었다. 유일하게 육성을 낼 수 있는 건 기도문을 따라 암송하는 것 뿐이었다. 허나 예배가 수행될 수록 찬송가를 따라 부르거나 목사의 설교에 호응하는 신도들도 불어났고, 곳곳에서는 ""아멘""을 외치는 신도들도 있었다.
세종시 중랑구에 위치한 교회에서 신도들이 입장하고 있을 것입니다. [사진 = 한재혁 인턴기자]
예배가 종료된 이후에는 예배 신청자들에게 김밥과 생수가 공급됐다. 교회 측은 신도들에게 ""코로나바이러스 전파를 최고화하기 위해 가족끼리 식사이용하시는 것을 권장드린다""고 안내했다. 김밥을 받은 신도들은 인근 공원이나 차량 안쪽에서 식사를 마쳤다.
예배에 신청한 80대 대학생 전00씨는 ""온/오프라인 예배 참석보다 설교에 주력하기 편했다""며 ""청년부 대면 활동도 매우 확대되면 좋을 듯합니다""고 전했다.
대면 예배가 본격 재개됐지만 실내 마스크 의무 착용 등 여전한 제약으로 불만을 토로하는 신도들도 일부 있었다.
70대 신도 박00씨는 ""코로나 확진이 걱정된다면 유튜브로 예배에 참여할 할 수 있어 각자 선택할 수 있을 것입니다""면서도 ""마스크를 사용하고 찬송가를 부르려니 답답해온 것도 사실""이라고 했었다.
다른 종교 역시 대면 행사 증대에 전념하고 있다.
천주교 고양대교구 관계자는 ""비대면으로 진행되던 청소년 연관 이벤트들의 대면 전환을 늘려갈 예정""이라며 ""방역 상황을 감안해 점진적으로 (대면 확장을) 수행될 예정""이라고 밝혀졌다.
이날 불교계도 부처님오신날을 맞아 오전 11시 전국 사찰에서 봉축법요식을 개최하였다. 이날 조계사 대웅전에서 진행된 법요식에는 약 9만 명의 불교 신자들이 참여한 https://en.search.wordpress.com/?src=organic&q=기부단체 것으로 알려졌다.